Fabula docet 개괄
라티움어 교재 FABVLA DOCET를 교재로 사용하는 분들에게 교재 사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된 문서입니다.
* I. 진도
라틴어 1의 진도 : 1~8과
라틴어 2의 진도 : 9~17과
라틴어 3의 진도 : 18~27과
* 2. 문법 용어
가. 명사 변화 : ‘명사 곡용’이라는 용어 대신 ‘변화’로 통일
나. 동사 변화 : ‘동사 활용’이라는 용어 대신 ‘변화’로 통일
다. 시제 : ‘imperfectum’는 ‘과거’로 정리
라. gerundivum : ‘수동미래분사’
마. gerundium : ‘동명사’
바. supinum : 목적분사
* 3. 시제 구분
가. 선형(線形) 시상 : ‘현재’, ‘과거 imperfectum’, ‘미래’
나. 점형(點形) 시상 :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 4. 철자법
가. 영국 사전과 독일 사전의 철자법, 장음절 표시 등이 다름.
나. 독일 사전(Langenscheidts)를 기준으로 함.
* 5. 문장 부호
가. 쉼표,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를 기본으로 함.
나. 세미콜론은 사용하지 않음.
* 6. Lectio
가.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서 발췌함. 수정판 교재 하단에 출처를 표시함.
나. 오비디우스의 운문을 산문으로, 시어를 기초 어휘로, 내용을 단순화.
다. 기초단어는 lectio 앞에 표시하고, 고급어휘는 난외주로 표시.
* 7. 자모와 발음
가. 기원전 1세기를 기준으로 고전 라티움어를 배움.
나. 대문자 사용
- 기원후 113년의 트라야누스 기념비에 모두 대문자.
- 트라야누스 기념비의 글자 적는 방식을 학생들과 같이 검토함. (대문자 사용; 글쓰는 방향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줄바꿈)
senatus populusque Romanus
imp(eratori) caesari divi nervae f(ilio) nervae
Traino aug(usto) germ(anico) dacico pontif(ici)
maximo
다. 대문자 V를 소문자 v, u로 나누어 적음.
- v는 자음, u는 모음
- 주의 : u가 자음을 표시할 때 : lin-gua, san-guis
라. 발음
- 음절의 장단 : anus, anus
- 모든 글자를 읽는다 : anus, annus
마. i의 발음
- 모음 사이의 i 는 두 번 소린낸다 : huius, cuius 등은 hui-jus, cui-jus로 읽는다.
- 합성된 단어에서도 etiam 는 eti-jam으로 읽는다. eti + iam의 합성인바, eti = et.
- abicio의 경우 합성단어 : ab-jicio로 읽는다.
바. Gn-
- magnus는 mag-nus로 음절 구분. mag의 소리는 /망/. /망누스/로 읽는다.
-단, Gnaeus, cognosco의 경우, 그나이우스, 코스노스코.
* 8. 수업과 교재의 대문자 사용 규칙
대문자로만 교재를 만들면 읽고 배우기에 어려움이 있어 소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함. 오늘날 고전 편집본도 그렇게 함.
고유명사와 형용사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씀 : Caesar
고유명사에 파생된 형용사 등은 대문자로 적음 : populus Romanus
모든 문장의 시작에서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음 : Populus Romanus laudat Caesar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