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ula docet 1과
1. adagia
festina lente는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제일 좋아하고 즐겨 쓰던 격언이다. 에라스무스의 <격언집>에 등장하는 수천 개의 격언들 가운데 에라스무스가 뽑은 제일 훌륭한 격언이다. 두 인물 아우구스투스와 에라스무스는 라티움어 학습에 매우 중요한 인물인바, 아우구스투스는 고전 라티움어의 기준 시점을 의미하며, 에라스무스는 르네상스의 대표 학자로서 고전 라티움어의 부활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인 인물이다.
돌고래와 닻으로 구성된 '그림 문자 pictogram'은 나중에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출판사 Aldo의 문장으로 쓰인다. Aldo출판사는 에라스무스의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2. 제1변화 명사를 연습함.
성 : 자연성과 문법성
수 : 단수, 복수
격 : 기본 격은 6가지
명사변화표는 호격을 제외한 5가지만 표시함.
3. lectio
가.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1권, 천지창조, 혼돈이 갈라져 지수(地水)화풍(火風)이 생겨나고 이것들이 결합하여 만물이 만들어진다.
나. 라티움어 문장에 어순이 없음을 강조한다. 주어를 문장에서 찾아라는 질문을 계속 학생들에게 던진다.
다. 동사 est, sunt의 용법을 자세히 다룬다. 연습문제 5번을 같이 다룬다. 문장의 주어가 단수일 때 est, 문장의 주어가 복수일 때 sunt이며, 그리고 그것에 맞춘 보어들도 복수가 된다.
4. 연습문제 풀이
I. 라티움어로 답하시오.
1. Quid est in prīncipiō? 태초에 무엇이 있습니까?
2. Quid est chaos? 혼돈은 무엇입니까?
3. Quōmodo est dīvīsa massa? 덩어리는 어떻게 나누어졌습니까? A natura est divisa massa.
4. Unde fōrmae multae sunt in mundō? 세상의 많은 형상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Formae multae in mundo sunt a terra et unda et flamma et aura
5. Quid est nunc in mundō? 이제 세상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IV. 우리말로 옮기시오.
1. Aurōra est Mūsīs amīca. 새벽의 여신은 문학의 친구입니다.
2. Ālea iacta est. 주사위는 던져졌다.
3. Aquila nōn captat muscam. 독수리는 파리를 잡지 않는다.
4. At rēgīna est saucia cūrā. 하지만 여왕은 근심에 상처입었다. (아이네이스 4권; 여왕은 디도)
Cura는 abl. sg. 인바, instrumenti로 본다.
5. Fēmina dux factī est. 여성이 그 행동의 지도자다. (아이네이스 1권; 여성은 디도 여왕)
라티움어에 정관사도 부정관사도 없지만, 문맥에 맞게 넣을 수 있다.
VI.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태초에 혼돈이 있다. In principio est chaos.
2. 세상에 아무런 형태가 없다. In mundo est nulla forma.
3. 세상에 영원한 투쟁이 있다. In mundo est pugna perpetua.
4. 덩어리는 땅과 물과 불과 바람으로 나뉜다. Massa est divisa in terram et undam et flammam et auram.
5. 세상에 투쟁이 아니라 질서가 있다. In mundo est non pugna, sed concordia.
5. 보충연습문제 :
번역하시오.
1. In massā sunt pūgnae.
2. Pūgnae sunt in massā.
3. Pūgna est in massā.
4. In massā pūgna est.
5. Fōrma est nōn in mundō.
6. Fōrmae sunt nōn in mundō.
7. Fōrmae sunt multae in mundō.
8. Fōrmae sunt nōn multae in mundō.
9. Pūgnae sunt multae in massā
10. Pūgna est in massīs.
11. Pūgnae sunt in massīs.
12. Pūgnae sunt multae in massīs multī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