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ula docet 4과

* 1. adagia

    Cui bono? 누구에게 이득인가?  

    dat. commodi와 dat. finalis를 설명하시오.

    

    로스키우스 사건은 기원전 80년 키케로가 변호사로서 처음 맡은 큰 사건이다.

    술라의 측근이 시골 부자 로스키우스의 재산을 빼앗기 위해 아들 로스키우스를 부친 살해로 몰아 기소한다.

    부친 살해는 매우 중대한 범죄로 소위 '피대익살형'에 취한다. 가죽 부대에 넣어 강에 던져 죽이는 형이다.

    

* 2.  문법

    '형용사는 명사다'라는 기본 원칙을 강조할 것. 우리말 형용사는 용언으로 구분되지만, 라티움어 형용사는 '체언'이다.

     형용사는 그대로 명사로 쓰일 수 있다.

        bonus 좋은 사람

        boni 선량한 사람들

        bonum (중성 단수) 이득  (cf. cui bono?)

        bona (중성 복수) 재산

    1/2변화 형용사 : 호격은 변화표에 빠져 있으니, 따로 설명할 것.

    er, era, erum 으로 정리되는 1/2 변화 형용사는 변화표를 따로 만들지 않았으니, 학생들과 별도로 연습.


    '정해진 어순은 없다’

        사실 어순이 있다고 말하고 주어가 맨 앞에, 맨 뒤에 동사가 온다고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예외가 많다.

        하지만, 이런 설명보다 정해진 어순이 없다는 설명이 간결하다. 단, 중요한 것이 문장의 맨 앞과 맨 뒤에 온다고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

        격을 분석하면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할 수 있고, 동사를 보면 주어의 인칭과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일치의 3번 술어적 용례 : 흔히 부사처럼 번역되며, 일종의 분사구문으로 설명 가능.

         Puellae fabulam audiunt [et laetae sunt]

         [et laetae sunt]를 유사 분사구문 [laetae](being happy)로 덧붙인 문장.

         따라서 동반, 이유, 시간 등 부가적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Fabula magna nobis laetitiam dat.

         위대한 이야기가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이야기는 [위대해서]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이야기는 [위대할 때]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 3. 본문 

     생략된 주어를 어떻게 보충할까를 학생들에게 설명하시오.

     

* 4. 연습문제

     1. 라티움어로 옮기시오(sum 동사의 시제에 주의).

           1. 태초에 혼돈이 있었다. In principio erat chaos.

           2. 세상에는 아무런 형태가 없었다. In mundo nulla forma erat.

           3. 영원한 가 있을 것이다. Concorida aeterna erit. (3과 본문 난외주에 형용사 aeternam)

           4. 아피우스 대로는 길의 여왕이었고 여왕일 것이다. Via Appia erat regina viarum et erit.

           5. 우리는 늘 문학의 친구일 것이다. Erimus semper Musis amici.


      5. 다음을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시인은 즐거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Poeta narrat fabulam laetam.

           2. 유피테르는 아름다운 에우로파를 본다. Iuppiter videt Europam formosam.

           3. 소녀는 페니키아에 살고 있다. Phoenicia habitat puella.

           4. 황소는 소녀를 사랑한다.  Taurus puellam amat.

           5. 황소와 소녀는 크레타 섬에서 살고 있다. Taurus et puella habitant.


      6. 우리말로 옮기시오.

           1 : Errare : 부정사는 중성, 단수로 간주한다. 명사로서 주어의 역할.

           3 : divitiae는 늘 복수로 쓰이는 명사 : 재산, 부유함.

           4 : 위대한 것들의 시작이 아주 미미한 것은 필연적이다.’

           4 : 1의 honestum은 중성 단수의 어미이고, necesse라는 형용사도 좀 다르지만 중성 단수. 다른 형태 없음)

           5 : 달걀에서 과일까지 : 처음부터 끝까지 : 만찬 요리의 순서


      8. 우리말로 옮기시오.

           4 : occurro+ dat. 누구를 만나다 : 툴리아는 신전 근처에서 여자 친구를 만나다.

           4 : 전치사 ad는 ...로 말고 ...근처에 의 뜻도 가진다.


* 5. 보충연습문제

       다음의 형용사를 바로잡으시오.

           1. (Poēta magna) narrat fābulam dē Eurōpā.

           2. Poēta (fābulam laetus) narrat dē Eurōpā.

           3. Iuppiter dē caelīs (terrās multua) spectat.

           4. Taurus in (tenera herbīs) ambulat. 

           5. Eurōpa (taurō formosa) occurrit.

           6. Deus ā (siccus terrā) ad undās vestīgia pōnit. 

           7. (Praedam nōn līber) dūcit ad īnsulam Cretam.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Fabula docet 개괄

fabula docet 1과

fabula docet 3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