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ula docet 6과
* 1. adagia
인생은 짧고, 기예는 길다.
의사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말이다.
여기서 기예로 번역된 ars는 'ars poetica 시학'에서 '학'이라고도 번역된다.
'ars dicendi'에서는 '술'로 번역된다. 연설술
* 2. 문법
제3변화 형용사
가. 어미 2개 짜리 형용사를 먼저 익힌다.
나. 어미 1개 짜리 형용사는 현재분사와 몇몇 형용사라는 점을 부각한다.
다. 현재분사 만드는 법을 배운다.
라. 형용사 어미 변화의 기본형은 3변화 명사 기본형과 극명하게 단수 탈격 -i와 복수 속격 -ium에서 구분된다.
volo 동사는 동사원형과 함께 쓰인다.
하지만 영어처럼 조동사와 본동사의 구분은 적용되지 않는다.
volo라는 동사가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가진 것이다.
동사원형은 일종의 명사다. 따라서 격변화한다. 동사원형은 중성 단수로 간주하기 때문에,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같다.
동사원형의 주격과 목적격을 뺀 나머지 격은 동명사 gerundium를 활용한다.
주격 amare
속격 amandi
여격 amando
대격 amare
탈격 amando
* 3. 본문
다프네가 아폴로를 피해 나무가 된다.
아폴로는 다프네가 나무가 되었는데, 억지로 자기 나무로 선언한다. 이에 다프네는 나무가 되어서도 진저리를 친다.
haec....illa는 전자....후자로 번역된다.
fugio, ere 동사는 자동사로 도망하다, 타동사로 를 피하다, 에서 도망하다 로 번역된다.
sentio 동사의 문형을 설명하라. Accusativus cum Infinitivo, 줄여서 AcI를 설명하라.
동사원형의 의미상 주어는 대격으로 온다.
* 4. 연습문제
1. 명령법에 주의하여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아들들아, 열심히 일해라! Filii, diligenter laborate!
2. 안녕하십니까? 주인님! Salve, Domine! 우리말 인사는 의문형인데, 라티움어는 명령형!!
3. 시인을 사랑해라, 아이들아! Poetam amate, pueri! '아이들아'는 남성과 여성 혼합이지만, 라티움어로는 남성 복수로!
4. 가이우스야, 서둘러 학교에 가자! Gai, festina mecum ad ludum (adire)!
festino, are 동사는 '서둘러...하다'의 뜻인바, '가다'는 번역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자'는 청유이고 정확하게는 '접속법의 청유'를 쓰는 것이 좋다. festinemus ad ludum!
하지만 명령법과 mecum을 써서 '가자'의 청유를 표현할 수 있다.
5. 사랑하는 나의 아들아, 즐거운 이야기를 들어라! Mi fili care, audi fabulam laetam.
2. 다음을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신은 소녀를 사랑하기를 원하였다. Deus puellam amare volebat.
2. 소녀는 숲으로 다가갔다. Puella ad silvam adit.
3. 소녀는 신에게서 도망치고, 신은 소녀를 쫓는다. Puella deum fugit, et deus puellam petit,
4. 신은 소녀의 머리카락과 눈을 칭찬한다. Deus capillos et oculos puellae laudat.
5. 강물의 신은 소녀를 나무로 바꾼다. Deus aquarum mutat puellam in arborem.
5. 우리말로 옮기시오.
1. Fortibus virīs est fortūna data. 행운은 용감한 사람에게 주어진다.
2. Simile gaudet similī. 비슷한 것은 비슷한 것에 기뻐한다. 유유상종. gaudet는 abl.목적어로 취함.
3. Ūna hirundō nōn facit vēr. 한 마리 제비가 봄을 만들지 않는다. ver는 중성명사로 주격과 대격이 같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덕을 설명할 때 든 비유.
4. Vestis virum facit. 옷이 사람을 만든다. 오뒷세우스가 나우시카 공주를 만났을 때, 옷을 입고 달라진 모습으로.
5. Quid est hominī inimīcissimum? Alter homō. 무엇이 인간에게 가장 적대적인 것인가? 다른 인간(옆 사람).
6. Mīlitat omnis amāns, et habet sua castra Cupīdō. 사랑은 전적으로 군복무다. 쿠피도는 제 군영을 꾸렸다.
난외주에 빠진 단어 : milito, are 싸우다, 군복무하다
amans는 amo, are에서 파생된 분사이며, 여기서 명사로 쓰였다.
오비디우스 <사랑의 노래> 1, 9, 1행
탁튈로스 육음보
청년은 나이가 들어 사랑을 알 나이가 되는데, 그때는 바로 군복무할 나이와 같다.
너무 늙어도, 너무 어려도 사랑은 어울리지 않는다.
사랑에 빠진 청년은 야간 보초처럼 밤을 지새운다.
전쟁처럼 사랑도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사랑은 전쟁처럼 험난하고 긴 길을 걸어가야 하며, 온갖 역경을 넘어서야 한다.
사랑 이야기와 전쟁 이야기가 대표적 이야기로 전해지는 것은 그래서 당연하다.
* 5. 보충연습문제
우리말로 옮기시오.
1. Ovidius fabulam narrat.
2. Minerva cum deis in Olympo habitat.
3. Arachne est superba.
4. Arachne picturas pulchras format.
5. Nymphae picturas amant et laudant.
6. Puella bene laborat.
7. Europa habitat in insula Phoenica.
8. Iuppiter amat Europam.
9. Europa taurum spectat.
10. Europa est puella pulchra.
11. Taurus puellam in terram novam portat.
12. Ubi habitant Europa et taurus.
우리말로 옮기시오.
Duplex est vis animorum atque naturae. Una pars in appetitu posita est, altera in ratione.
Appetitus hominem huc et illic rapit.
Ratio docet et explanat facienda et fugienda.
Appetitus, si longius vagatur, quam ratio satis retinet, non modo animus, sed etiam corpora perturb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