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ula docet 17과

 연습문제 VII 1. Amicitiae excusatio est nulla excusatio peccati. 2. Caesar ponti tuendi causa praesidium decem centuriarum constituit. 3. Praeter Capitolium omnia hostium erant. 4. Miseros consolari humanitatis est. 5. Optimus omnium oratorum erat Demosthenes. 6. Viri magnae conscientiae rarius inveniuntur quam viri magni ingenii. 7. Proditionis accusatus, capitis damnatus est.

fabula docet 16과

 * 1. * 2. 문법     2. 비교의 종속절        multis partibus maior 여러 배가 크다        duabus partibus maior 두 배가 크다 * 3. 연습문제      VI.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Voluptas est tenacior et duratior quam ratio.         2. Asia milites Romanos fecit divitiores quam fortiores.         3. Hector humanitate et misericordia multo melior quam Achilles.

fabula docet 15과

 * 1. * 7. 연습문제    III.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로마는 작은 마을에서 시작하였다. Roma initium fecit a parvo oppido.        2. 로마인들은 로마를 건설하였다. Romani Romam condiderunt.        3. 그들은 많은 공동주택과 거대한 저택들을 지었다. Insulas multas et magnas villas fecerunt(condiderunt, aedificaverunt).        4. 로마인들은 로마를 강력한 성벽으로 강화하였다. Romani Romam muris firmis confirmaverunt.        5. 그들은 신들을 위해서도 신전을 지었고 공공건물을 세웠다. Et deis templa condiderunt et aedificia publica fecerunt.       VI.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Spectamus e Capitolio forum Romanum, in quo Romani valde celebrabant.        2. Ambulamus per Viam Sacram, in qua stabant multa templa et monumenta.        3. In Palatio, in quo Augustus olim habitabat, veterum aedificiorum ruinae multae sunt.        4. Videmus Colosseum, in quo ludi faciebantur.       ...

fabula docet 14과

 * 1. * 7. 분사류를 이용하여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지역이 달라지더라도 풍습은 달라지지 않는다. Terris mutatis non mos mutatus est.     2. 현자는 어떠한 위험에도 숙고하기를 그만두지 않는다. Sapientem nihil deterret a deliberando.     3. 행하기에 가장 훌륭해 보이는 것을 행하라. Fac, quod factu optimum videtur.     4. 인간 영혼은, 이런 말이 불경이 아니면, 신의 영혼 말고 다른 것과 비교할 수 없다.                Animus humanus, si non nefas dictu est, non cum alio animo nisi cum deo comparari potest.     5. 아폴로에게 자문을 구하도록 사절들이 파견되었다. Apollinem consultum missi legati sunt. * 8. 보충 연습문제       1. Salutatum venit.       2. Auxilium postulatum venit.       3. Legati missi sunt Apollinem consultum.       4. Legati missi sunt Apollinis consulendi causa.       5. Quid est tam iucundum cognitu et auditu quam sapientibus verbis ornata oratio.       6. Quid optimum factu est?       7. Multa sunt faciliora...

fabula docet 13과

* 1. * 3. * 7. 연습문제      III 라티움어로 바꾸시오.         1. 나에게 책을 주시오, 소년이여! Da mihi librum, puer!         2. 우리에게 빵을 주시오, 친구들이여! 아니면 죽음을! Date nobis, amici! aut mortem!         3. 포에부스여, 그에게 마차를 주지 마시오! Phoebe, noli ei currum dare!         4. 마르쿠스여, 잠자지 마시오! Marce, noli dormire!          5. 나의 아들이여, 나를 믿으시오!      VII 미래분사와 동명사를 이용하여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우리 모두는 열심을 보여주어야만 한다. Diligentia nobis omnibus adhibenda est. (....danda est)         2. 변증술은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는 기술이다. Dialectica est ars vera ac falsa diiudicandi.         3. 키케로는 얼마나 도서관을 마련하고 장식하는 데 열심이었는가! Quam studiosus bibliothecae comparandae et ornandae Cicero est!         4. 자연은 영혼을 사물을 파악하는 데 적합한 감각들로 장식하였다. Natura aninum ornavit sensibus ad res percipiendas idoneis.         5. 카이사르는 배를 무장하는 데 쓸모 있는 것들을 히스파...

fabula docet 12과

 * 1. * 2. 연습문제      7. 분사구문을 이용하여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Dionysius a Syracusis expulsus Corinthi pueros docuit.         2. Animus ut oculi, non se ipsum videns, cetera cernit.         3. Quis non infelix est mortem timens?         4. Pythagora Superbo regnate in Italiam venit.         5. Societas hominum et fides pereunt, religione erga deos deleta.

fabula docet 11과

 * 연습문제 7번 작문    1. Vos pueros laudare vidimus.    2. Me puellis fabulas narravisse audivisti.    3. Auditis me magistrum salutavisse.    4. Gavisi sumus vos nos salutare.    5. Non sciverunt vos nos laudaturos esse.

fabula docet 10과

* 1. * 4. 연습문제 풀이       3.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Volo bonus esse. Volo me bonum esse.          2. Iubemus puerum sapientem fieri.          3. Audiebatis puellas me vocare. Audiebatis puellas me vocavisse.          4. Sciebat hostes urbem oppugnare.          5. Volumus nos incolumes urbem defendere.        7.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1. Volui vos docere litteras.          2. Nobiscum ambulare debes.          3. Magister nos iussit librum legere.          4. Voluisti nos docere?          5. Dicunt se puellas laudare.          6. Dixerunt se ambulaturos esse.          7. Diximus nos liberos amare.   

fabula docet 9과

 * 1. 격언    베레스 사건은 부정수탈 재산 반환법에 따른 재판이었다.    베레스는 시킬리아 속주 총독으로 3년간 복무하면서 수많은 재산을 약탈하였고, 속주민들은 베레스가 로마로 돌아간 이후 반환법에 따라 소를 제기한다.    키케로는 베레스를 법정에 세웠고, 그를 이긴다.    키케로는 베레스를 변호하던 호르텐시우스를 물리침으로써 당대 최고의 변호사로 이름을 날린다. * 2. 문법     과거 시제와 미래 시제를 동시에 배운다.     시제 구분을 현재, 과거, 미래, 현재 완료, 미래 완료, 과거 완료로 했다.     동사를 5개로 구분하였고, 그에 따라 시제 어간이 달라진다. * 3. 악타이온      악타이온은 사냥꾼으로 수많은 짐승들을 죽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 자신도 사슴이 되어 그의 개들에게 물려 죽는다.       * 4. 연습문제       3. 우리말로 옮기시오.             1. Orator sine pace redibit. 협상자는 평화 없이 돌아올 것이다.                   Orator는 연설가라고 번역하지만, 때로 역할에 따라 번역할 수 있다. '말을 하는 사람'에 주목하자.                    전쟁이 발발했고, 양쪽의 협상자들이 단판을 위해 만났으나, 평화 협정을 맺지 못하고 돌아온다.             2. Tristitiam illorum temporum n...

fabula docet 8과

* 1. adagia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할 수 있었다.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 5권의 배 경주 장면이다. <일리아스>에서는 전차 경주였지만, 여기서는 배 경주로 바뀌었다.      해안에서 출발한 배들이 앞바다의 바위섬을 돌아오는 경주를 벌인다.      마지막 두 배가 남아 결승점을 행해 달려온다.      뒤쫓는 배가 바짝 따라붙었고, 번갈아가며 뱃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장면이다. * 2. 문법     명사변화 제3변화의 두 번째로 복수 속격이 –ium이 나타나는 경우를 배움          -주격과 속격이 –is, -is; -es, is로 같은 경우          -단수 속격의 –is어미 앞에 자음이 두 개 이상 겹치는 경우     제3변화 명사에 속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하지 않는 단어들           -강아지, 아버지, 어머니, 남자형제, 청년           -암기방법 : 옆집 총각을 포함하여 가족은 예외다.     is, ea, id는 지시 대명사이자 지시 형용사라는 것을 확인해줌.             id temporis는 eo tempore와 같은 표현이다. 흔히 중성대명사와 속격을 같이 붙여 부사구를 만든다.  * 3. 본문      니오베는 아폴로와 아르테미스의 어머니 레토 여신을 조롱하였다가 큰 벌을 받는다.      니오베가 자신이 더 위대하다고 주장하는 대목은 아폴로가 다프네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장면과 겹친...

fabula docet 7과

 * 1. adagia      res는 제5변화 명사로 14과에서 배운다. res publica 등의 예를 들어 '일, 사건, 물건' 등의 뜻임을 가르친다.      Ennius는 로마 건국 서사시 <Annales 연대기>를 쓴 시인이다.           엔니우스는 로마가 희랍의 영향으로 문학이 생겨나는 초기에 속한다. 이 시대를 '희랍화 시대'라고 한다.           로마의 건국 서사시는 나중에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로 대체되는데, 엔니우스 서사시에서 아이네아스의 도래는 큰 사건은 사건이었다. * 2. 문법     동사의 사주           동사의 사주는 동사의 사전 표제어 4개를 가리킨다.            221쪽 이하의 동사변화표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정보. 동사의 시제와 어미를 다시 한 번 정확하게 설명한다.           현재분사, 과거분사 등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동사어간을 확인.           69쪽의 사주표는 기본적으로 암기해야 할 것           하지만 기말고사 시험에서 단어장을 참고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암기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을 추천함.     의문문          의문사 없는 의문문의 경우, 우리말로 어감을 어떻게 표현할까?          긍정 혹은 부정의 답변 방법은 다루지 않음.     지시대명사          지시...

fabula docet 6과

 * 1. adagia     인생은 짧고, 기예는 길다.     의사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말이다.     여기서 기예로 번역된 ars는 'ars poetica 시학'에서 '학'이라고도 번역된다.     'ars dicendi'에서는 '술'로 번역된다. 연설술 * 2. 문법     제3변화 형용사          가. 어미 2개 짜리 형용사를 먼저 익힌다.          나. 어미 1개 짜리 형용사는 현재분사와 몇몇 형용사라는 점을 부각한다.          다. 현재분사 만드는 법을 배운다.          라. 형용사 어미 변화의 기본형은 3변화 명사 기본형과 극명하게 단수 탈격 -i와 복수 속격 -ium에서 구분된다.     volo 동사는 동사원형과 함께 쓰인다.          하지만 영어처럼 조동사와 본동사의 구분은 적용되지 않는다.          volo라는 동사가 동사원형을 목적어로 가진 것이다.          동사원형은 일종의 명사다. 따라서 격변화한다. 동사원형은 중성 단수로 간주하기 때문에,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같다.          동사원형의 주격과 목적격을 뺀 나머지 격은 동명사 gerundium를 활용한다.                   주격 amare                   속격 amandi ...

fabula docet 5과

* 1. adagia     Quisque faber suae fortūnae.  est가 생략되어 있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는 아피우스 대로를 건설한 인물로 정치적으로 로마사에 중요한 인물 * 2. 문법     명사 제3변화의 분류         기본 변화 : 단수 탈격 -e, 복수 속격 -um 인 경우         이형 1 : 단수 탈격 -e, 복수 속격 -ium 인 경우 : 어미 -is 앞에 자음 두 개 이상(urbs, urbis); 단수 주격과 속격이 같은 경우(navis, navis)         이형 2 : 단수 탈격 -i, 복수 속격 -ium 인 경우 : 중성명사 -ar, -al, -re ;         이형 3 : 단수 탈격, -i, 복수 속격 -ium 이면서 단수 대격 -im 인 경우 : turris, turris          추천 : 이형 3은 드물기 때문에 위의 세 가지 중심으로 제3변화 명사를 다루는 것이 좋다.     possum 동사는 pot- + sum으로 설명하면, sum는 이미 배웠으므로 쉽게 외워짐.           s+t = ss : 자음동화          sum 동사의 과거와 미래는 동사 시제 변화(완료시제)를 준비하는 과정      등위접속사 1          nec...nec의 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라. ...도 아니고...도 아니다.      등위접속사 3       ...

fabula docet 4과

* 1. adagia     Cui bono? 누구에게 이득인가?       dat. commodi와 dat. finalis를 설명하시오.          로스키우스 사건은 기원전 80년 키케로가 변호사로서 처음 맡은 큰 사건이다.     술라의 측근이 시골 부자 로스키우스의 재산을 빼앗기 위해 아들 로스키우스를 부친 살해로 몰아 기소한다.     부친 살해는 매우 중대한 범죄로 소위 '피대익살형'에 취한다. 가죽 부대에 넣어 강에 던져 죽이는 형이다.      * 2.  문법     '형용사는 명사다'라는 기본 원칙을 강조할 것. 우리말 형용사는 용언으로 구분되지만, 라티움어 형용사는 '체언'이다.      형용사는 그대로 명사로 쓰일 수 있다.         bonus 좋은 사람         boni 선량한 사람들         bonum (중성 단수) 이득  (cf. cui bono?)         bona (중성 복수) 재산     1/2변화 형용사 : 호격은 변화표에 빠져 있으니, 따로 설명할 것.     er, era, erum 으로 정리되는 1/2 변화 형용사는 변화표를 따로 만들지 않았으니, 학생들과 별도로 연습.     '정해진 어순은 없다’         사실 어순이 있다고 말하고 주어가 맨 앞에, 맨 뒤에 동사가 온다고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예외가 많다.         하지만, 이런 설명보다 정해진 어순이 없다는 설명이 간결하다. 단, 중요한 것이 문장의 맨 앞...

fabula docet 3과

* 1. adagia     호메로스도 좁니다 : 훌륭한 시인도 실수할 때가 있다. 그렇다고 모든 시인의 모든 실수가 용서되는 것은 아니다.     어설픈 시인도 뭔가 대단한 걸 내놓을 때가 있다. 그렇다고 모든 어설픈 시인들의 어설픈 것들을 칭송할 수는 없다.      인간적 한계 때문에 실수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계속해서 고치고 다듬어 실수는 피해야 한다.     본문에서 오비디우스의 아버지는 호메로스의 가난을 거론하며 오비디우스가 시인이 되는 것을 말렸다. * 2. 오비디우스 개인사     오비디우스의 아버지가 문학 공부를 말렸음에도 그는 시인이 됨.     문학이 inutile라는 아버지의 주장.     호메로스는 최고의 시인이었지만, 가난한 떠돌이 시인이었다는 당시의 일반적 견해. * 3. 단어장     단어장에 있는 단어들의 변화연습을 시도한다. * 4. 문법     명사변화 제2변화 전체          변화표에 호격은 빠져 있는데, 이는 호격의 예외가 2변화 명사 단수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격의 예외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예문을 넣었다.     (오타가 발견되었습니다. Carus에서 -a-가 장모음인데 마지막 예문의 경우 빠져 있습니다)          동사변화 2, 3, 3-1, 4변화 전체     동사변화 연습을 위한 ppt 제공(메일로 요청하면 보내드림) * 5. 본문     quis sum? 과 quid sum?의 차이를 설명해야 함.     durus 는 술어적으로 해석함. * 6. 연습문제     1. 다음을 라티움어로 옮기시오. ...

fabula docet 2과

 * 1. adagia     maximum remedium 중성 단수 명사는 3과에서 다루게 된다. 하지만 영어와 동일하기 때문에 미리 배워도 문제 없음.     세네카의 철학적 대화편을 소개함. 세네카는 로마고전기 후기에 속하는 철학자로 네로 황제의 스승. (세네카의 대화, 2016, 까치) * 2. 제1변화 동사를 연습함.     법, 태, 시제, 인칭, 수     시제 구분은 시상(aspectus)에 따라 선형線形과 점형點形으로 구분함.     선형은 ~하고 있다, 있었다, 있을 것이다      점형은 했다, 했었다, 했을 것이다     현재 완료 시제는 따라서 현재로도 과거로도 볼 수 있다.    동사변화 1변화에서 어간과 어미를 구분해준다. 어간의 마지막 모음이 -a-인 동사.    어간의 마지막 모음은 동사원형 -are에서 확인할 수 있는바, -a-     어미는 능동과 수동, 시제에 따라 다르다.    수동 어미는 비교를 위해 표시하였는바, 다르다는 점만 학생들에게 확인시킨다. * 3. 단어장      전치사의 용례를 익힌다. * 4. Lectio      in paeninsula Italia에서 두 명사는 동격      Asyndeton에 주의 : Gallia Hispania Africa Asia Graecia      키케로의 산문에 이렇게 연결사 없이 나열된 사례가 여럿 있다.      rēgīna viārum 속격의 용법. 부분의 속격. 영어 the best of the best를 가지고 설명함 * 5. 연습문제     1. 라티움어로 답하시오.     ...

fabula docet 1과

이미지
 1. adagia     festina lente는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제일 좋아하고 즐겨 쓰던 격언이다. 에라스무스의 <격언집>에 등장하는 수천 개의 격언들 가운데 에라스무스가 뽑은 제일 훌륭한 격언이다.         두 인물 아우구스투스와 에라스무스는 라티움어 학습에 매우 중요한 인물인바, 아우구스투스는 고전 라티움어의 기준 시점을 의미하며, 에라스무스는 르네상스의 대표 학자로서 고전 라티움어의 부활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인 인물이다. 돌고래와 닻으로 구성된 '그림 문자 pictogram'은 나중에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출판사 Aldo의 문장으로 쓰인다. Aldo출판사는 에라스무스의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2. 제1변화 명사를 연습함.     성 : 자연성과 문법성     수 : 단수, 복수     격 : 기본 격은 6가지     명사변화표는 호격을 제외한 5가지만 표시함. 3. lectio      가.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1권, 천지창조, 혼돈이 갈라져 지수(地水)화풍(火風)이 생겨나고 이것들이 결합하여 만물이 만들어진다.      나. 라티움어 문장에 어순이 없음을 강조한다. 주어를 문장에서 찾아라는 질문을 계속 학생들에게 던진다.      다. 동사 est, sunt의 용법을 자세히 다룬다. 연습문제 5번을 같이 다룬다. 문장의 주어가 단수일 때 est, 문장의 주어가 복수일 때 sunt이며, 그리고 그것에 맞춘 보어들도 복수가 된다. 4. 연습문제 풀이     I. 라티움어로 답하시오.         1. Quid est in prīncipiō? 태초에 무엇이 있습니까?        2. Quid est...

Fabula docet 개괄

라티움어 교재 FABVLA DOCET를 교재로 사용하는 분들에게 교재 사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된 문서입니다.  * I. 진도     라틴어 1의 진도 : 1~8과     라틴어 2의 진도 : 9~17과     라틴어 3의 진도 : 18~27과 * 2. 문법 용어     가. 명사 변화 : ‘명사 곡용’이라는 용어 대신 ‘변화’로 통일     나. 동사 변화 : ‘동사 활용’이라는 용어 대신 ‘변화’로 통일     다. 시제 : ‘imperfectum’는 ‘과거’로 정리     라. gerundivum : ‘수동미래분사’     마. gerundium : ‘동명사’     바. supinum : 목적분사 * 3. 시제 구분     가. 선형(線形) 시상 : ‘현재’, ‘과거 imperfectum’, ‘미래’     나. 점형(點形) 시상 :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 4. 철자법     가. 영국 사전과 독일 사전의 철자법, 장음절 표시 등이 다름.     나. 독일 사전(Langenscheidts)를 기준으로 함. * 5. 문장 부호     가. 쉼표,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를 기본으로 함.     나. 세미콜론은 사용하지 않음. * 6. Lectio     가.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서 발췌함. 수정판 교재 하단에 출처를 표시함.     나. 오비디우스의 운문을 산문으로, 시어를 기초 어휘로, 내용을 단순화.     다. 기초단어는 lectio 앞에 표시하고, 고급어휘는 난외주로 표시. * 7. 자모와 발음     가. 기원전 1세기를 기준으로 고전 라티움어를 배움.   ...